728x90
반응형
자주 사용되는 단조 진행을 알아보자!
1. 메이저 2-5-1 - 마이너 2-5-1
장조의 2-5-1과 단조의 2-5-1이 혼합된 형태의 코드진행입니다. 메이저와 마이너의 순서를 바꾸어도 괜찮습니다.
2. Dm7 - G7 - CM7 - Bm7(b5) - E7 - AM7
위에서 본 M 2-5-1 - m2-5-1과 같아 보이지만 하나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마지막의 AM7인데 원래처럼 1도인 Am7이 와야하지만 AM7으로 끝나면서 전조된 듯한 느낌을 주는 코드진행입니다.
이처럼 단조의 마침 코드를 마이너에서 메이저로 만드는 이러한 진행을 '피카르디 3도' (Picardy third) 라고 합니다.
3. Am7 - FM7 - G7 - CM7 or Am7 - FM7 - CM7 - G7 (3,4 change)
대중음악에서 많이 사용하는 마이너 진행입니다. 들어보면 그 느낌을 잡을 수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마이너 코드 진행입니다.
4. Am7 - Em/G - FM7 - C/E - Dm7 - F/C - Bm7(b5) - E7
빠질 수 없는 캐논진행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는 캐논 진행이 너무 좋습니다. 왜냐하면 하향하는 느낌이 확실하고 그만큼 안정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비록 단순해보일 수 있는 문제가 있지만 멜로디로 커버가 가능하다고 저는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ㅎㅎ
많이 들어보면서 감을 익히자!
확실히 그저 수학 공식처럼 딱딱 사용하여서 노래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닐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만드는 것보다 직접 느끼면서 음악을 즐기면서 만드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물론 지금 이 글을 쓰는 저도 크게 와닿지는 않습니다.. 실력이 잘 안느는 것 같아서 그런가봅니다..
그래도 힘을 내야겠지요~ 이제 다시 시작해봅시다!! 파이팅!!
다들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내일은 더 좋은 하루가 되기를 바라며.
728x90
반응형
'wook music의 이야기 > 작곡의 첫걸음 (작곡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곡의 첫 걸음 : 강진행(+강박), 약진행(+약박), 전위형 코드 (0) | 2023.02.20 |
---|---|
작곡의 첫 걸음 : 코드(Chords) (0) | 2023.02.15 |
작곡의 첫 걸음 : 단조 (0) | 2023.01.19 |
작곡의 첫 걸음 : 화성음, 비화성음, 멜로디 (0) | 2023.01.18 |
작곡의 첫 걸음 : 장조 코드 진행 감 익히기!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