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ok music의 이야기/알면 도움이 되는 정보들!

조개요리 좋아하시나요? (조개 섭취 시 주의 점)

by Wookmusic 2023. 4. 2.
728x90
반응형

출처: 나무 위키

 

Clam, 혹은 Shellfish

 

 

조개는 연체동물의 일종이며, 바다와 강 등에 서식한다.

 

조개의 크기와 모양, 색 등은 아주 다양하고 껍데기의 모양과 무늬 또한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종류가 많다)

 

입을 벌려 뻘이나 물을 먹어 그 안에 있는 플랑크톤이나 유기물만 걸러먹는다고 합니다.

 

 

 

키조개의 관자가 뭘까?

 

사람들이 키조개를 먹을 때 항상 고급음식에 같이 나오는 부위가 있죠.

 

바로 '관자'입니다.

 

 

관자는 키조개가 가지고 있는 껍데기를 고정시키는 근육입니다. 근육이기에 다소 잘못 요리를 할 경우 아주 질겨질 수가 있습니다.

 

 

조개에서 왜 모래가 많이 씹히나

 

이는 조개가 먹이를 먹는 관습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말했듯 조개는 뻘과 물을 먹어 먹이만 걸러먹습니다. 걸러먹기 때문에 걸러 먹고 남은 모래와 같은 이물질들이 남아있기 마련이죠.

 

그래서 해감이라는 과정을 통해 요리하기 전 하루 정도 물에 넣어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조개껍데기는 일반 쓰레기입니다.

 

 

수온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조개를 먹는 것은 힘들어질지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수온이 올라가면 독성 플랑크톤이 그만큼 더 증식을 하기 때문에 먹고 식중독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조개를 먹고 몸살이 났다

 

조개요리를 제대로 먹은 적이 처음이었습니다.

 

무한리필을 주문을 하였고 원없이 먹을 수 있었죠.

 

하지만 잘 먹고 난 후에 뭔가 다음 날 몸이 너무 춥고 으슬으슬 떨리고 오한이 돌고 있습니다.

 

물론, 이겨낼 예정이지만 (ㅎ)

 

혹시나 어느 시나리오들이 있는 지 궁금해져서 한번 조사를 해보려고 합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식중독

 

조개는 특히나 움직이지도 않고 바다의 아래에 있기 때문에 미생물들의 좋은 서식지입니다.

 

미생물들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이것은 정말 '초자연적'인 범주이기 때문에 어떻게 할 수는 없습니다.

 

결국 이러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식중독으로 이어가게 됩니다.

 

대장균, 살모넬라균, 판독균 등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미생물이 식품에 오염되어 섭취될 때 발생합니다.

 

식중독

: 식중독의 증상은 섭취한 식품의 종류와 오염된 세균이나 독소의 종류, 섭취량, 개인의 체질 등에 따라 다양합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복통, 설사, 구토, 발열, 두통 등이 나타납니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발병 후 몇 시간에서 며칠간 지속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심각한 탈수와 간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품의 섭취 전에 신선도를 확인하고, 식중독 위험이 있는 식품은 적절한 조리 후에 섭취해야 합니다. 또한, 식품을 보관하는 환경과 보관기간을 철저히 관리하고, 개인위생과 소독 등을 철저히 실시해야 합니다. 식중독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받아야 합니다.

 

 

염증 반응: 조개를 먹은 후 알레르기나 체질적인 이유로 인해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증상으로는 발진, 가려움증,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독소 중독: 조개는 일부 종류에서 독소를 함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독소는 식중독과 비슷한 증상을 일으키며, 일부 경우에는 중독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한번 더 집중적으로 찾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