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Dopamine)?
뇌를 비롯한 우리 몸의 여러 곳에서 기능을 수행한다.
도파민은 뇌와 신장 등에서 합성되는 전구물질인 L-DOPA로부터 카르복시기(carboxyl group)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된다.
카르복실기(-COOH)가 떨어지면 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 도파민이 만들어진다.
여러 가지 경로들이 존재합니다.
물론, 모든 경로들이 복잡하게 얽혀있기에 이것을 제대로 찾아보려면 이 블로그는 뇌과학 및 신경 관련 블로그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ㅎㅎ)
간단하게 궁금했던 부분들만 조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복측피개영역 → 전전두피질
전전두피질은 대뇌피질이 앞 부분을 말합니다.
이 영역에서는 추상적 사고, 의사결정, 성격의 표현, 실행기능과 관련이 되어있다고 합니다.
실행기능: 어떻게 행동하면 득이 되거나 해가 되는지를 선택하는 기능
약간 사람들은 사회에서 보여지는 모습과 집에서의 모습이 다른 이러한 것은 이 전전두피질의 기능이라고 합니다.(헉)
복측피개영역 → 부족핵(nucleus accumbens) 영역
항정신병 약물의 도파민 차단은 이 부족핵 영역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이 부위는 쾌락과 중독의 중추로도 불립니다. (엄청난 곳..)
어떤 일이든 시작을 하면 이 영역에서 반응이 나타나고 어떤 일에 집중할 때 집중력과도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필로폰, 프로포폴, 환각제 및 마약 등은 복측 피개부(VTA)에 있는 도파민의 과도한 활성과 연관이 있습니다.
이 영역이 활성화되면 사람은 행복과 비슷한 느낌을 받나 봅니다.
흑질 → 배측선조체(dorsal striatum) 영역
기저핵(basal ganglia)영역에 속하는 흑질에서 생성된 도파민은 선조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운동과 보상 관련 뇌 영역인 이 부위는 움직임을 시작하고 움직임을 지속하는데 중요합니다.
여기엔 널리 알려진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흑질에서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세포가 많이 소실이 되면 파킨슨병이 나타납니다.
활꼴핵 → 정중융기 영역
활꼴핵에서 분비된 도파민은 정중융기 뇌영역의 신경을 건드리고 이는 프로락틴의 분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로락틴 호르몬은 인간의 경우 발육, 황체자극, 전립선, 정낭 등의 발육에 관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호르몬은 항상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 균형이 깨지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뭔가 조사하고 찾아보니 복측피개영역 → 부족핵(nucleus accumbens) 영역이 눈에 띕니다.
사랑을 하는 연인들이나 행복, 쾌락 등에 연관이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행복을 좇다.
도파민을 주제로 찾아보기로 결정한 이유도 도파민이 흔히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열심히 살고 그런 삶의 이유를 찾으려고 합니다.
저는 삶의 이유를 일종의 행복을 찾기위한 여행(journey)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마다 각기 다른 이유를 가지고 살아가겠죠.
아무튼 저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글에 행복을 좇는 모습들이 보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고민을 하고 또 고민을 해도 어려운 영역인 것 같습니다.
도파민에 대해서 궁금했습니다.
내용을 깊게 파고들려면 아주 어려워지기에 가볍게 훑었지만
그래도 무언가를 새롭게 알고 느꼈다는 것에서
오늘은 기분이 좋습니다.
여러분도 행복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세요
어떤 답들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저에게도 알려주세요(ㅎ)
이번주도 잘 마무리하시고
힘내봅시다

'wook music의 이야기 > 알면 도움이 되는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곡하는 뇌를 다 읽었습니다 (0) | 2023.05.29 |
---|---|
한양대학교 전자정보 이용방법 (0) | 2023.05.19 |
조개요리 좋아하시나요? (조개 섭취 시 주의 점) (0) | 2023.04.02 |
휴대폰에 연결 가능한 마이크(구매한 것) 테스트!! (0) | 2023.02.25 |
상견니(想見你) - 사랑보다 사람에 집중한 고찰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