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ver


Living the life as a giver.
Not just a receiver or taker.
Life is like a game which goes too long and never can stop.
So it's similar to non-zero sum game.
In this game, we consistently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somebody.
Here's the choices you can choose.
"Will you live a life as a giver?"
or
"Will you just live a life as a receiver or taker?"
There's no answer but most successful people were giver.
Some can say giving is kind of investment, and I agree with that at some point.
I don't weigh people's mind or willingness.
They do those things because they want to do.
Although some can do those things with calculations, we don't have to thing more with that.
Just Become a giver.
No matter how much money you have, you can become a giver.
The amount of money is not importan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heart.
What you gave to someone might come back in the form of other warmness. (Not 100%)
Do not think so much. It's useless.
You have to think deeply, not long.
EFFICIENCY.
Life is short.
We all have to live the life efficiently.
Let's start this week with good power and positivity.
Show your heart to someone.
Even though The Results will be never known.
/
기버
삶을 주는 사람으로 사는 것.
받는 자나 무게를 재는 자만이 아닙니다.
인생은 너무 오래가고 결코 멈출 수 없는 게임과 같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논제로섬 게임과 비슷합니다.
이 게임에서 우리는 지속적으로 누군가와 소통하고 상호작용합니다.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신은 주는 사람으로 살 것입니까?"
또는
"당신은 그냥 받는 사람으로 살 것입니까, 아니면 수신자로 살 것입니까?"
답은 없지만 대부분의 성공한 사람들은 답을 주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주는 것이 일종의 투자라고 말할 수 있고, 저는 어느 시점에서 그것에 동의합니다.
저는 사람들의 마음이나 의지를 따지지 않습니다.
그들은 하고 싶어서 그런 일들을 합니다.
비록 어떤 사람들은 계산적으로 그런 일들을 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더 이상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주는 사람이 되라.
돈이 아무리 많아도 기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돈의 양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입니다.
당신이 누군가에게 준 것은 다른 따뜻함의 형태로 돌아올지도 모릅니다. (100%는 아니지만..)
그렇게 많이 생각하지 마세요. 소용없어요.
오래 생각하지 말고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
효율성.
인생은 짧아요.
우리 모두는 효율적으로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번 주는 좋은 힘과 긍정으로 시작해요.
누군가에게 당신의 마음을 보여주세요.
비록 결과는 절대 알 수 없을지라도..

'wook music의 이야기 >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2) | 2023.04.20 |
---|---|
첫 스타트업 기업이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 (0) | 2023.04.12 |
'현재'를 살아가는 '때' (0) | 2023.04.02 |
할수있따 (0) | 2023.03.30 |
막연한 미래에 대한 생각 (0) | 2023.03.29 |